띄어쓰기 간격이 넓어짐 문제 해결하는 방법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띄어쓰기 간격 문제) 생전 사용하지도 않던 기능을 설정하는 바람에 띄어쓰기 간격이 넓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내가 언제 무엇을 설정한 탓인지도 모른채 띄어쓰기 간격의 불편함을 겪게 되는데, 애써 모른척하면 입력하는 데에는 문제는 없기 때문에 참으며(?) 사용할 수 있다. 나의 경우 갑자기 피피티에서 띄어쓰기 간격이 무지하게 들어났는데, 글자 간격이나 파워포인트의 세부 설정을 찾아봐도 답이 없었다. 문제는 윈도우에서 설정하는 것이라 파워포인트 뿐만아니라 티스토리에 포스팅할 때, 크롬에서 검색할 때, 엑셀, 워드 프로그램까지 모두 띄어쓰기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해결 안 하고는 지나갈 수 없다. 그리고 해결책도 매우 간단하다.목차1. 문제 원인과 문제 상황 예시2. 해결 방법 1. 문제 원인과 문제 상황 예시문제상황은 지.. 2025. 3. 6. 옵시디언이 가진 장점이자 노션에서 갈아타는 이유, 실시간 동기화 방법 목차1. 옵시디언, 실시간 동기화가 불가능한가?- 옵시디언의 핵심 원칙- 로컬 저장의 장단점2. 노션에서 넘어가는 이유- 2가지 이유3. 무료 및 유료 실시간 동기화 방법 - 아이폰 - 윈도우 PC 간 옵시디언 동기화 하는 방법1. 옵시디언, 실시간 동기화가 불가능한가? 옵시디언의 핵심 원칙에 따르면 로컬 저장소에서 자신의 데이터를 원칙에 더 가깝지만, 아무래도 실시간 연동되는 기능이 간절할 때가 많다. 나와 같은 메모앱의 유목민이라면, 메모앱을 갈아타기 전에 따져보는 조건 중 '동기화 여부'가 매우 핵심인 경우가 많을 것이다.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옵시디언은 실시간 동기화가 가능하고, 무료 및 유료의 선택지가 있다. 많은 이들이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무료로 커뮤니티 플러그인을 활용하는 방법, 유로로.. 2025. 1. 21. 티스토리 에디터 자체 각주 기능 사용하는 방법 목차1. 각주 적용한 모습 미리보기2. 티스토리 에디터의 각주 적용하는 방법3. 단점 및 실제 사용하고 전하는 팁 1. 각주 적용한 모습 미리보기 먼저 티스토리 에디터의 자체 기능으로 각주를 적용한 결과부터 살펴보자! 계속 '자체'라고 강조(?)하는 이유는 티스토리에 '각주'를 넣는 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오늘 살펴보는 기능은 css나 html부분을 수정할 필요없이 티스토리 작성 [기본모드]에서 쉽게 추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서 각주가 달리는 모양이나 위치, 색상 등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html, css로 구현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 오늘은 그래도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으로 소개한다. 기본 각주도 물론 css로 수정할 수 있다. 일단 아래에서 기본으로 제공.. 2025. 1. 9. 가짜 블로그 광고에서 개발자도구에서 웹페이지에 쓰인 함수 찾기 toDate() 더보기적당히 어제와 오늘 날짜의 댓글을 섞어 놓는 얄팍한 장치를 찾을 수 있다.좀 더 살펴 댓글의 좋아요 174와 0 또한 만들어진 값임을 알 수 있다. 하나 더, 얄궃은 사실은 이벤트 종료임박이라는 문구 옆의 남은 시간이다.이 시간은 줄지 않는다. 역시 성의없게도 시간 역시 고정된 값이기 때문이다.언제나 2시간 46분 59초 남은 이벤트.. 1. 가짜 블로그 광고 이야기2. 가짜 광고의 날짜 댓글창이 업데이트 되는 이유 : element탭에서 html 속 댓글 날짜의 태그 찾기3. 현재 날짜를 불러오는 함수를 넣은 곳 : 자바스크립트의 함수 찾기 심심해서 웹페이지 개발자도구를 열고 구경하는 이들이 재미있게 보고 가길 바란다. 예전에 4학년 한 친구는 수업시간에 필요한 웹 사이트를 안내하면, 개발자 .. 2024. 12. 16. 웹 브라우저에서 HTML 코드를 출력하는 과정을 집짓기에 비유하기, 개발자도구 열어보기 1. 개발자 도구의 Element는 무엇일까?F12를 누르면 개발자 도구가 나타난다. 이때, element 탭을 열면, 긴 HTML코드가 등장한다. 그러나 이는 이 웹페이지의 HTML코드의 원본은 아니다. 여기서 수정을 하면, 바로 현재 웹페이지에 반영은 되지만, 연결된 html 코드 자체가 수정되는 것은 아니다. element의 내용은 웹 브라우저가 이 웹페이지에 대한 html코드를 해석하여 출력한 결과로 (물론 매우 동일한 부분이 많지만) 출력된 값과 함께 문서의 구조 등이 담긴 내용이지 원본 코드가 아니다. 원본 html 코드를 보려면 Element탭이 아닌 Sources 탭에서 html 코드를 찾아야한다. 2. 웹 브라우저가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과정은 집짓기와 비슷하다. html 코드를 받아서 웹.. 2024. 12. 14. 이전 1 2 3 4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