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윤리] 예능에 자리 잡는 AI 커버곡 지난 추석 저녁에 평소 잘 보지도 않는 kbs를 켰더가, 그대로 앉아서는 넋을 놓고(?) 본 프로그램이 있다.지난 5월 파일럿을 운영해보고, 정규 편성이 되어 막 되어 1회를 시작한 프로그램이었다.마침, 1회를 시작한 프로그램이라 더 궁금했다.  AI를 즐길거리로 바꾸는 시도  소재는 어쩌면 익숙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매우 흥미롭다. AI로 생성된 가수음성과 진짜 음성을 구별하여 진짜를 찾아내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가 딥페이크 사건으로 AI기술에 대한 윤리의식의 아주 밑바닥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긍정적인 시도들도 함께 일어나고 있다는 걸 느끼며 다행스러웠다.  AI 음성과 가수의 대결이라니,  AI기술을 금방 즐길 거리로 바꾸어내는 면이 감탄할 만하다. AI기술들은 온라인 상에서 언제나 괜찮은 즐길거리였지.. 2024. 9. 26.
[AI윤리] 고릴라를 금지한 구글포토 수업이야기 -3- [AI윤리] 고릴라를 금지한 구글포토 수업이야기 -3-지난이야기1탄 : https://pangguinland.tistory.com/3322탄 : https://pangguinland.tistory.com/334포스팅을 마무리지어야하는데 자꾸 길어진다.  오늘 이야기2. 검색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과 견해(#1은 지난 포스팅에서 다룸)- #2 수집된 데이터의 문제, 고릴라로 분류된 원인 추측: 데이터 세트를 늘리면, 윤리적 문제는 사라지는가? - "아니오"- #3 조치와 그 이후: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적절한 조치3. 그 이후 수업과 나의 결론 #2 수집된 데이터의 문제, 고릴라로 분류된 원인 추측 #1에서는 인간의 인식 과정과 다른 인공지능의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분류 모델의 한계와.. 2024. 9. 21.
[ai윤리] "AI 사고 데이터베이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 최근 AI 관련 사건 포스팅을 작성하다가 발견한 흥미로운 사이트(https://incidentdatabase.ai/)가 있다.Welcome이라는 단어가 부조화를 일으키는 이 사이트는 인공지능 관련 사고를 모아오고 있는 사이트이다.2000년 11월부터 공개된 이 사이트는 꾸준하게 인공지능 시스템의 실패 사례들을 수집해오고 있다. 단지 기사문이나 사진들을 나열하는 정도가 아니다. 각 사건마다 고유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메타데이터를 함께 기록하여, 데이터 활용도를 높였다. 그리고 사이트를 방문한 이에게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는 취지를 홈페이지에서 함께 전하고 있다. 사건 777번 : “ 한국, 노골적인 딥페이크 포르노 급증을 경험하다 ”  행운의 숫자가 3개나 걸린 777번을 부여받아 현재 메인에 걸린 사건은 우.. 2024. 9. 14.
[AI윤리] 고릴라를 금지한 구글포토 수업이야기 -2- -1탄- 지난 이야기 : https://pangguinland.tistory.com/332 [AI윤리] 고릴라를 금지한 구글포토 수업이야기 -1-이미지 인식모델로 플라스틱쓰레기와 물고기를 분류하는 체험을 하고 개념을 익힌 다음, 편향을 주제로 인공지능 윤리 수업을 이어갔다. 학습된 이미지데이터에 담긴 편향으로 인해, 온도계를pangguinland.tistory.com 며칠동안 쓴 글을 날리고 백지부터 다시 쓰려니 눈물이 앞을 가린다.수업이 끝나고도 내내 고민이 들었다. '인공지능이 잘한 거 맞는 것 같다.'라는 생각이 가득했다. 그럼 이 사례는 수업에서 뺏어야하나 싶었다. 어찌되었든간에 이 내용 그대로 수업할 수는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 해결하고 싶은 질문 2. 검색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과.. 2024. 9. 1.
[놀이] 개인적이고 구체적인 놀이 올해는 사람을 만날 때마다, 취미가 뭐냐고 물어보았다. 절반 정도는 "그럴 시간이 없어요." "여유가 없어서." "쉬기에도 바빠서"라는 대답을 주었고, 이게 아니라면 주로 수영, 독서, 뜨개질, 전시관람, 영화감상 등이 반복해서 등장했다. 취미를 물으면 대체적으로 명사형으로 답을 주어서 내가 이어서 더 질문을 던지고는 했다. 그러나 '앞으로 뭘 하고 놀아야 하는가?' , '무엇을 좋아하는가?' 에 대한 답을 찾고 싶었는데, 아쉬움이 있었다. 어디서 즐거움을 찾아야하는지 고민을 시작했다. 직접 놀기 다른 사람으로부터 즐거운 것에 대해 듣는 것에 반드시 한계가 있었다. 내가 직접 놀아보아야 맞다는 생각에 연초부터 이것 저것 다양한 공간과 활동들을 시도해보기로 했다. 그와중에 발견하는 참 재미있는 공간들이 있.. 2024. 8.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