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 준비 # 시나공 # 23년도 2회 필기 합격이다!!! 2023년 2회 정보처리기사 합격 후기 합격후기를 들고 오게 되어 진짜 너무 행복하다. 오늘 시험장에서 나오고 나서 한참동안도 가채점 결과가 실감이 안났다!! 예상보다 너무ㅎㅎ 높았다. 곧 다가올 실기는 잠시 잊고 내일부터 캠핑과 원데이클래스, 미뤄둔 가족 친구 모임을 즐길 수 있다! (목차) 1. 합격 기준 및 과목별 배점 2. 시험 자격 및 필자의 배경 지식 3. 시험 준비 계획과 현실적인 투자 기간 (다음 포스팅) 5. 원서접수 과정과 시험장 후기 및 준비물 6. 과목별 특성 및 공부 과정 1. 합격 기준 및 과목별 배점 * 필기시험의 합격 기준은 모든 과목이 40점을 넘기고, 평균 60점이상이어야 한다. * 과목은 총 5개로 20문제씩 출제되어 각 5점이다. * 시험시간은 15.. 2023. 6. 5.
[최우수상 수상!] 아이스크림, ‘챗GPT 활용 교육 아이디어 공모전’ 챗GPT 활용 교육 아이디어 공모전, 무려 최우수상 수상! 오늘은 필자가 자랑거리를 들고 왔다!!!!!!! 겸사겸사 공략(?), 과정들을 나눠보려한다. 환상의 팀합을 자랑하는 오리와 함께 두번째로 지원해본 공모전이다!! 그런데 결과가 저번만큼이나 너무 좋았다. (예전 공모전은 오리씨 블로그의 포스팅을 남겨본다.)http://orissine.blogspot.com/2018/10/sw-sw.html 생각, SW) SW 콘텐츠 공모전에서 대상을 타다!!!!!!이후 피땀흘려 실제 게임으로 구현하게 되었다. 2019~2020 시즌까지 운영되었다. 팡귄랜드에 자세한 후기 https://pangguinland.tistory.com/49 -------------------------------------------.... 2023. 5. 19.
[의인화] 의인화의 정의와 심리적 결정 요인 3가지 의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읽었던 여러 논문의 의견과 개념들을 정리하는 포스팅을 실어본다. 의인화에 대한 논문을 쓰고 있거나, 관심을 갖게 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의인화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로 갈린다. 의인화 요소를 정리하거나 의인화를 다룬 논문에서 정의를 살펴보면 너무나 다양하고 서로 비슷한 듯 다르기도 하다. 그러나 공통적인 점은 의인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이 있다는 것이다. 여러 정의를 종합해보고 정리하다보면, 의인화의 심리적 결정 요인을 다룬 Epley, Waytz, & Cacioppo (2007)이 정의한 내용이 여러 논문에서 발견된다. ‘의인화(Anthropomorphism)’란 인간이 아닌 대상에게 인간과 유사한 특성, 동기, 의도, 감정을 부여하는 것 (Epley, W.. 2023. 3. 5.
[Scratch3.0] 비디오 센싱 그림자 놀이 와 얼음 놀이 지난 겨울에 스크래치 3.0이 나왔길래 뒤적거려보다가 그림자에 닿으면 깨지는 보석을 만들어보았습니다. 비디오센싱을 써본 분들이라면, ^^; 아주 간단하다는 것을 아실것 같습니다! 스크래치에서 제공되는 이미지가 많아지기도 했고, (이제야 좀 쓸만한게 생긴것 같기도ㅎㅎ) 무엇보다 좋은 점이 제공되는 오브젝트들이 그룹화 와 그룹화 해제가 가능해서, 부분별로 분해가 되기도 합니다. 핸드폰을 천장에 두고, 플래시를 켜서 그림자를 강하게 만들었습니다. 캠이 없어ㅎㅎㅎ 노트북을 거의 닫기 직전의 각도로 두고 했네요. 하늘색을 따라 보석이 생기도록 해보았습니다. 이것은 반대로 특정 물체에 얼음이 맺힌다거나 꽃이 피어오르는 것, 또는 궤적을 따라 만들어지는 이미지를 생각하면서 연습해보았습니다. 얼음이미지나, 꽃의 이미지.. 2019. 6. 16.
[안내] 피땀이 담긴 온라인코딩파티 2019 + 교육자료 탑재 (06.10~23) https://codingparty.goorm.io/turtleship 드디어 온라인 코딩파티 2019가 시작되었습니다! 아이들에게 기본 조작법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교육자료도 함께 탑재합니다. 반 아이들 데려가보고 나니 초급의 마지막이 너무 어려웠다싶어 수정하였습니다. 처음 교육컨텐츠 공모전 계획서를 접하고 동생과 아이디어를 장난 스럽게 얘기하던 날부터 거의 1년이 지나, 정말 이렇게 멋지게 꽃을 피워서 사실 전날도 그렇고 오픈 한 날부터 며칠을 계속 긴장했었습니다. 손이 정말 많이 가고 마음도 많이 갔습니다. 올해도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소프트웨어 교육 콘텐츠 공모전이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동생이 처음, '둘이서 하는 것도 있으면 좋겠어. 파티라고 애들 데려가면 각자 모니터보고 조용히 하잖아?'라는 말.. 2019.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