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신뢰 회복에서의 의인화, 암묵적 이론, 및 사과 귀인의 효과 [논문리뷰]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신뢰 회복에서의 의인화, 암묵적 이론, 및 사과 귀인의 효과 [논문리뷰] The Effect of Anthropomorphism, Implicit Theory, and Apology Attribution on the Trust Repair of Artificial Intelligent Agent 김태년 (2021) 아래는 먼저 읽어보면 좋은 블로그 글입니다. 이 포스팅은 공부를 위해 정리한 내용이다보니 조금 두서없는 포스팅일 수 있습니다. 혹여 흥미로운 제안이나 가설을 발견하셨다면 논문 원문을 꼭 살펴주시길 바랍니다! CASA 패러다임 (Computers are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CASA 패러다임 (Computers are Social Actors) 인간과 컴.. 2022. 2. 5. [논문] 귀무가설, 대립가설 이란? 귀무가설 / 대립가설(=대안가설, 연구가설)이 무엇인가요 ? 귀무가설 : 연구에서 검증해야하는 가설 (H0, 영가설, null hypothesis). 기본적으로는 참으로 추정하며 이를 거부하기 위해서는 증거가 필요함. 모집단의 특성에 대하여 옳다고 제안하는 주장임. * 차이가 없다 / 효과가 없다 / 같다 / 영향을 주지 않는다. 등으로 주로 서술 대립가설 : 귀무가설과 반대되는 가설로 연구자가 입증되기를 기대하는, 예상하는 가설 (대안가설, H1, Ha, alternative hypothesis) * 차이가 있다 / 효과가 있다 / 다르다 / 영향을 준다. 등으로 주로 서술 귀무가설 대립가설 용의자A는 무죄일 것이다. 용의자A가 범죄를 저질렀을 것이다. 흡연 여부가 뇌혈관 질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2022. 1. 17. [논문]WiFi-VLC Dual Connectivity Streaming System for 6DOF Multi-User Virtual Reality 엣지 컴퓨팅 / VLC / SNR / 관련 영상 모음 WiFi-VLC Dual Connectivity Streaming System for 6DOF Multi-User Virtual Reality 가시광통신(VLC)과 와이파이를 이중으로 활용하여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대한 논문이다. 여러 명의 사용자가 있을 때, 그리고 급격한 움직임 등으로 인해서 일시적인 영상 불일치가 발생할때, 이를 재구성하기 위해 보다 안정적인 이중 경로를 제안하고 있다. 사실은 읽으면서 용어 하나부터 이해가 안되어 막막하지만, 이것 저것 찾다보니 '아 이런 방식이구나.' 어렴풋히 느낌이 온다. 평생 펼쳐 보지 않았을 분야를 열어보는 중이다. 물론 너무 나의 현실과 또는 나의 미래와 연결점이 없을지 모르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사용하게 될지도 모르는 기술들이 이런식으로 연.. 2021. 11. 20. [연구] 투명 물체를 인식하게 가르치다 ! Learning to See Transparent Objects 출처 : ai.googleblog.com/2020/02/learning-to-see-transparent-objects.html Learning to See Transparent Objects Posted by Shreeyak Sajjan, Research Engineer, Synthesis AI and Andy Zeng, Research Scientist, Robotics at Google Optical 3D range sensor... ai.googleblog.com Optical 3D range sensors, like RGB-D cameras and LIDAR, have found widespread use in robotics to generate rich and accurate 3D maps .. 2020. 10. 10.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