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데이터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데이터 분석 수업 설계: 질문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논문]데이터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데이터 분석 수업 설계: 질문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_김은지, 김태영._한국교원대학교 목차 1. 논문 개요 2. 느낀점 및 추가할 점 +i표시는 개인 생각을 뜻함 1. 논문 개요 본 연구의 핵심은 '주어진 데이터'에서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데이터 시각화 수업에서 주어진 데이터에 '학습자가 스스로 알맞은 질문을 만들고 이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한 데이터 시각화 수업'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수업의 가장 첫 단계에서 ‘문제 설정’ 단계에서 ‘WHEN’, ‘WHERE’, ‘WHAT’, ‘HOW’, ‘WHY’ 질문 카테고리에 대한 질문 생성 활동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결과 해석’ 과정에서 분석 결과가 개인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컴퓨팅 .. 2022. 6. 30. [책] 거리의 인생, 인생단편집 다른 사람의 인생을 깊게 들여다보는 순간 논문을 쓰면서 알게 된 멋진 블로그가 있다. '멋지다'라고 느끼는 이유는 정리도 체계적이고,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제대로 소화해서 착착착 서랍에 담아놓은 느낌이 나는 블로그이기 때문이다. 나는 카테고리를 나누는 게 너무 어려운데, 이 블로그를 가면 그 블로그에는 필연적으로 이 카테고리가 생길 자리가 있었던 것처럼 체계적이다. 그 블로그에서 오늘은 이글을 읽었다. '인터뷰'라는 주제만 봐도 괜히 관심이 더 가는지라 오늘 다른 급한 일이 있음에도 이포스팅을 읽어보았다. 소개할 책과 약간 다른 이야기로 느껴질 수는 있다! https://blog.naver.com/khj90733/222649520801 정성적 리서치와 정량적 리서치에서,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유저의 수라고 한다. 논문을 보다보면 이과정이 .. 2022. 4. 18. [책] 슈퍼인텔리전스 닉 보스트롬 '인간 중심적인 근거 없는 기대에 대한 경고' 슈퍼인텔리전스 _ 닉 보스트롬 [책 리뷰] '인간 중심적인 근거 없는 기대에 대한 경고' (1)인공지능 수준이 아직 동물보다도 못한 멍청이야. 이제 겨우 침팬지? 사람 따라오려면 한참 멀었네. (2) 인공지능이 결국에는 더욱 사람을 닮을 것이다? (3) 행동의 동기. 최종 목표를 윤리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만약 이 생각들에 쉽게 동의했다면, 이책을 읽어볼만하다. 에필로그 이 책을 신간코너에서 사왔었으니, 17년도 즈음이 아니었을까 싶다. 안타깝게도 사와서는 어려워서 중간에 놓아버렸다. 분명 두근거리며 사와서, 그리고 열심히 설레어 읽은 책이다. 이제는 몇 구절 정도는 넘어설 능력이 생기지 않았을지 그리고 왜 이렇게 이 책이 재밌고 충격적이었는지 확인해보고자 다시 읽기로 했다. 이책을 다시 펴보니 다행히.. 2022. 3. 13.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어떻게 하고 싶은가 ] 딜레마 개발 논문 2편 1) 초등학생용 도덕 딜레마 개발연구 _ 김항인 / 2) 정보윤리판단력 측정을 위한 이슈중심의 딜레마 개발 _ 김민선, 김한성, 이원규 이 부분때문에 포스팅하게 되었다. '초등학생용 도덕 딜레마 개발연구' _ 김항인 中 일반적으로 도덕교과서에 등장하는 도덕적 갈등 사태는 도덕 딜레마가 아닐 수 있다. 도덕적 갈등은 선택의 상황에서 하나의 선택이 반드시 도덕적일 필요는 없다. 도덕적 이유와 비도덕적 이유가 충 돌할 수도 있고, 도덕적 이유와 도덕적 이유가 충돌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덕판단에 있어 쉽게 결론에 이를 수 있다. 도덕 교과서로 수업하다보면, 이건 분명 '갈등'인데 왠지 답이 보이는 것 같은 애매한 때가 있었다. (물론 누가봐도 잘못된 행동을 가르쳐 주는 일화는 빼고) 어딘가 갈등이라기에는 아.. 2022. 2. 16. [논문] 딜레마 개발 _ 간호사와 의사 간의 윤리적 딜레마 사례개발과 간호사의 의사결정 양상 간호사와 의사 간의 윤리적 딜레마 사례개발과 간호사의 의사결정 양상_정정미,박정현,정석희 목차 0. 왜 이 논문을 읽게 되었나 1. 논문 개요 2. 메모 3. 느낀점 0. 왜 이 논문을 읽게 되었나 운전자와 탑승자가 바라보는 것은 전혀 다를 것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딜레마, 트롤리 딜레마는 AI윤리의 '정석'처럼 언제나 등장한다. 하지만 과연 이것이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딜레마일까 개인적으로 항상 의문이 든다. 내가 운전 면허를 꽤나 늦게 딴 편이라 운전자와 탑승자가 얼마나 현저하게 다른 태도(집중력, 차분한 마음가짐, 끼어드는 용기 등..)를 요구받는지 요즈음 실감하기때문에 더욱 그렇다. 예전 일기장에 조수석에 타면 운전자와 같은 시야를 보고 같은 곳을 향해 간다는 것이 나의 얼마나 큰 착각이었는지 적.. 2022. 2. 14.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