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데이터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데이터 분석 수업 설계: 질문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_김은지, 김태영._한국교원대학교
목차
1. 논문 개요
2. 느낀점 및 추가할 점
+i표시는 개인 생각을 뜻함
1. 논문 개요
본 연구의 핵심은 '주어진 데이터'에서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데이터 시각화 수업에서
주어진 데이터에 '학습자가 스스로 알맞은 질문을 만들고 이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한 데이터 시각화 수업'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수업의 가장 첫 단계에서 ‘문제 설정’ 단계에서 ‘WHEN’, ‘WHERE’, ‘WHAT’, ‘HOW’, ‘WHY’ 질문 카테고리에 대한 질문 생성 활동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결과 해석’ 과정에서 분석 결과가 개인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컴퓨팅 기술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동료들과 토론하는 활동을 추가한 수업 설계를 제안하였다.
+i 아주 적절한 접근이고 공감이 가는 문제제기 였다. 이후 제안 내용을 더 깊이 살펴보면, 데이터를 보고 그에 대하여 질문을 만들어 내는 것만 1차시로 충분히 잡았다는 점이 매우 의미있었다.
질문에 대한 공감적 동의
1. 서론 中
데이터 분석 수업은 데이터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고 주어진 데이터에서 '답'을 찾는 경우가 많다.
... 질문에 대한 공감적 동의 없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분석활동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2. 데이터 분석 수업 설계 中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는 자료에 질문을 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리터러시는 통계 리터러시와의 연관성으로 미루어 볼 때 문제 설정 과정에서
데이터에 질문하는 과정은 데이터 리터러시 신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데이터에 질문하기’ 활동을 수업 모형에 추가하여 설계하였다.
‘문제 설정’ 단계에서 ‘WHEN’, ‘WHERE’, ‘WHAT’, ‘HOW’, ‘WHY’ 질문 카테고리에 대한 질문 생성 활동시, 질문 연쇄를 이루면서 하위 단계로 질문을 하도록 지도하여 질문을 구체화 할 수 있도록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의 필요성과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결과 해석’ 과정에서 분석 결과가 개인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컴퓨팅 기술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동료들과 토론하는 활동을 추가한다.
세 가지의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 모형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데이터에 질문하기’ 활동을 개별 활동 뿐만 아니라 모둠 활동을 통해 ‘질문’의 의사소통적 요소의 본질적 접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의 데이터 분석 과정과 결과의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표2>에서 언급된 '통계적 문제해결과정'
출처 : 통계연구학교 운영보고서(영남중)
미국통계협회(ASA)에서 2007년에 발표한 통계 교육에서 수업과 평가를 위한 지침GAISE(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적 문제 해결 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설정, 자료수집, 자료분석, 결과해석의 4단계2)로 볼 수 있다.
2. 느낀점 및 추가할 점
첫 단계의 질문이 데이터의 시각화에서 어떤 그래프를 선택해야하는지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 명쾌했다. 첫 단계 질문에 대한 공감적 동의가 이후, 이어지는 단계에서 학습자에게 어떤 어려움을 초래하는지 제시하는데 그또한 명확하고, 이 첫 단추 역할인 문제 설정 단계를 강조한 수업을 설계해보아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AI , 컴퓨터 , 대학원 > 논문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 챗GPT의 신뢰성과 낡지 않는 종이, 인터넷 페이지 (4) | 2023.01.31 |
---|---|
[논문] 공공서비스 로봇의 의인화에 관한 사용자 선호 (0) | 2022.08.01 |
[책] 거리의 인생, 인생단편집 다른 사람의 인생을 깊게 들여다보는 순간 (0) | 2022.04.18 |
[책] 슈퍼인텔리전스 닉 보스트롬 '인간 중심적인 근거 없는 기대에 대한 경고' (0) | 2022.03.13 |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어떻게 하고 싶은가 ] 딜레마 개발 논문 2편 (2) | 202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