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국립중앙박물관 신안 해저 문화재 흑유자를 만나고 오다! (~2019.6.2) 전시 안내 사이트 : http://www.museum.go.kr/site/main/exhiSpecialTheme/view/specialGallery?exhiSpThemId=349456&listType=gallery 신안해저문화재 흑유자 특별대공개 기간 : 2018.06.04 ~ 2019.06.02 장소 : 상설전시관 3층 아시아관 신안해저문화재실 입장료 : 무료 지난 1월, 동생과 함께 흑유자를 보러 국립중앙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전시기간이 넉넉한 편이고 고려전이나 다른 특별전이 전면에 두드러지게 안내되고 있어서 이 전시는 사람들이 아주 많지는 않았습니다. 우선! 특별전시이기는 하지만, 『대고려 918·2018 그 찬란한 도전』 처럼 다로 기획전시실에서 하지도 않고 『황금인간의 땅, 카자흐스탄』 처럼 .. 2019. 2. 9. 소프프웨어 교육 수업 지원용 주제별 영상모음(4~5분) 좋은 선생님들과 위지런, 케리스에서 함께 만들었던 영상들입니다.에듀넷에 가서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중에 몇 개 영상을 만들었는데5번, 32번, 33번이 기억에 남고 제 수업에도 적극 사용하려는 영상입니다.시간 날때마다 꼭 코딩 수업이 아니더라도 역사나 지식으로 보여주려구요. 5번 내용 설명: 소프트웨어의 개발 의도가 사람을 위한 것들을 모아 소개합니다. 소프트웨어가 주는 편리함과 새로운 기술을보여주는 것보다도 만든 사람들의 의도나 과정이 드러나는 영상을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 히나단 게임 앱 "노인을 위한 게임을 만들다." 스마트폰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게임 앱의 대부분은 노인들이 플레이하기에는 어렵고 복잡한 게임들입니다.손동작이 느려도, 제한 시간이 없이, 즐겁게 함께 할 수 있는 게임을 만.. 2019. 2. 4. [책]비디오 게임의 역사 어휘 디자인원리에 대해 투박한 표지에 가려지기 쉽지만 (표지 디자이너에게 죄송하지만 10년은 더 된 줄 알았다) 2015년 11월에 출시된 책이다. 아티스트이자 디자이너 게임 개발자인 작가들의 매력적인 생각이나 감각있고 이유있는 결정들이 감탄스럽다. 마리오 비디오게임이 첫 출시된 버전과 최근의 것을 비교하며 이야기를 시작하는데 잘 골랐다 싶다. 표지에 속아넘어가지 않았다! 2019. 1. 20. 밥그릇과 역사가 긴 학문에 대한 생각 역사가 긴 학문 '역사가 긴 학문들'이야말로 소위 말하는 역사로 부터 오지 않는 지식에 대한 (미래학에서 말하는 넘쳐나는 지식과 정보를 다루는 창의성을 강조할 때 등장하는 말) 지금 세대들의 사고 방식과 더불어 양립해야 할 것이 아닐까 싶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자의 반 타의 반 핑계같은 말로 붙잡으며 지내온 시간동안 나는 신기하고 새로운 현상을 던져주는 기술과 사회 변화에만 집중했었다. 역사가 짧은 것이라고 할 수 없으나 기술에 의한 환경을 관찰하는 데 급급했다. 나에게는 그것만으로도 벅찰 정도로 어렵고 신기했기 때문이다. ( ) 그런데 그 와중에 역사가 긴 학문이라는 단어가 자꾸 와닿는다. 역사가 긴 학문은 마치 오래된 전통을 지니고 변치않는 이론을 뿌리에 둔 그런 학문이라고 생각해왔다. 정작 '면역.. 2019. 1. 19. [전시][게임] 모마(MOMA)에 전시된 비디오 게임 기사링크 https://www.indiepost.co.kr/post/1213 수요일에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에서 [하룬 파로키 우리는 무엇으로 사는가] 전시를 보고 왔습니다. 가장 먼저 본 것은 [평행 I – IV] (2012-2014) 시리즈입니다. 영상이 네군데에서 상영되고 있고 천장 위에서 내려온 스피커의 목소리를 들으며 빈백에 기대어 바닥에 다리를 뻗고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너무 놀랍고 재미있었습니다. 한 번 더 보러가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게임 속에서 등장하는 배경과 인물, 배경도 인물도 아닌 중간의 객체에대한 우리의 인식을 꺼내줍니다. 예전에 해리포터 게임이나 텀블레이더를 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올랐습니다. 플레이어가 갈 수 없는 경계는 투명한 벽처럼 막혀있거나 경로를 이탈했다는 경고.. 2019. 1. 18.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