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 살기 좋은 우리 국토 - (1) 소중한 우리 국토 앞서 포스팅하지 않았던 차시는 간략하게 메모! 1차시 - 사회를 보는 눈 이야기 하기. (과학의 눈, 국어의 눈과 다르게 보아야 할 것)"사회를 배울 때 어떻게 보아야 할까?": 사람의 기록. 역사. 원인과 결과가 있고 사건들이 이어져온 기록. - 국토의 모습 보고 느낀점 이야기. (국토의 방향과 모양에 대하여 감상하기): 스티커로 붙이고 뒷 장 호랑이 모습 보기"국토를 그린 그림에는 어떤 간절함이 담겨 있을까?"*교과서 외 추가자료 : 토끼로 그린 당시 과거 신문자료, 한반도를 뒤집어서그린 지도.+ 남쪽을 향해 나아가는 지도를 제시한 선생님 자료도 인상 깊었다. 북쪽으로나아가는 듯하다는 발표와 강해지고 싶었던 마음이라는 발표들이 나왔다."'희망'이나 '바라던 것'을 찾아보자."라는 발문이 좋았다. -사.. 2018. 3. 25. [영상] 약수 트리를 이용한 소인수분해로 공약수 구하기 오늘 5-1-1. 약수와 배수 단원의 [ 공약수와 최대공약수를 알 수 있어요 ] 를 수업했다. 동생의 자료를 받아 교과서에 없는 약수 트리를 활용했다.그것으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인지 명확한 이해가 없었다는 반성이 들었다.이영상을 보니 약수트리가 이렇게 쓰이는 것이구나 약간 도움이된다.아주 기가막힌 영상까지는 아니다.소인수분해라는 어려운 말을 안쓰고 설명했는데, 내일 다시 한번 설명은 해야겠다.공약수를 구할 때에는 12, 18의 공약수를 찾고자사탕포장을 (나름 화이트데이를 맞이하여 내었던 아이디어이다) 가지고 설명했다. 느끼는 것은 묶음과 배수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정도로 개념을 세우지 않으면,약수와 배수는 거의 공포와 혼란의 시간이라는 거다...ㅠㅠ나의 한계를 느껴서 계속 공부를 하고 있다.수업이 끝나서야.. 2018. 3. 15. STEM 과학과 문학의 융합 Integrated Studies Using Science to Bring Literature to Life Combining science and literature can help students engage more deeply with both subjects. By Amy Schwartzbach-Kang, Edward Kang February 23, 2018 원문 보기 https://www.edutopia.org/article/using-science-bring-literature-life .......So we created a series of science lessons to make the story more tangible. 그래서 우리는 보다 명확하게 이야기를 구성하여 과학수업을 구성.. 2018. 3. 11. 우리가 놓치는 것과 발견하는 것들을 느끼기 [영상] 관련교과 : 도덕, 창체 권장시기 : 학기초영상자료 : [영상1] 농구하는 무리 속 문워킹곰찾기(혹은 놓치고 놀라기) https://www.youtube.com/watch?v=xNSgmm9FX2s 1) 영상에서 흰색 팀이 공을 몇 번 패스하는 지 맞추어 보라고 말한다.2) 검은 색 팀 말고, 흰색 팀의 공을 집중할 것을 재차 강조한다.3) 영상이 시작되면 하나 셋, 둘 읊어가며 숫자에 혼란을 주려는 듯 같이 보면서 패스 횟수를 초집중하여 보게 한다.4) 13번이라는 정답이 뜨기 전 0:26초!!! 어서 영상을 멈추고 횟수를 물어본다.5) 대부분 답을 맞춘다. 그런데 혹시 이상한 것 발견한 사람이 있나 물어본다. (3개 반중 1반에서만 나왔다. 거의 없었다)6) 영상을 다시 이어서 시청한다.7) 왜 처음에.. 2018. 2. 27. AI 분야의 실상 점검 지능형 컴퓨터라고 해도 가르치는 사람보다 똑똑해질 수는 없습니다. AI 분야의 실상 점검지능형 컴퓨터라고 해도 가르치는 사람보다 똑똑해질 수는 없습니다. # AI 분야의 다양성을 극대화하는 것 이 글에서 가장 기억 남는 것이다. 기술에 관심을 갖는 동안 놓쳐서는 안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고 익숙하지 않은 시각으로 놀랍게 전해준다. https://www.google.co.kr/intl/ko/about/stories/gender-balance-diversity-important-to-machine-learning/ 2018. 2. 23. 이전 1 ··· 63 64 65 66 67 다음 반응형